아이티뱅크를 알아보기 위한 15가지 최고의 트위터 계정

이번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은 통합형으로 개편돼 수학도 문·이과 구분없이 치르고 성적도 같이 산출하는 가운데 전국진학지도협의회(전진협)가 자체 기말고사를 시행한 결과 '고3 문과생' 가운데 수학 1등급을 받은 비율이 2.6%에 그친 것으로 보여졌다.

전진협은 경기도교육청 주관 전국연합학력평가(학평) 시작에 먼저 인테리어뱅크 저번달 7~11일 전국 고시생 2760명을 표본으로 자체 기말고사를 시작해 이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4일 밝혀졌다.

서울·경기·대전·충남·충북·전북·대구·경북·부산·울산·경남·제주 등 15개 시·도에서 고3 학생 2195명과 고시생 581명이 접수하였다.

모의고사 결과 수학 1등급을 받은 학생 중 선택과목으로 '확률과통계'를 선택한 재수생 분포는 4.7%에 그쳤다.

수학은 선택과목이 '확률과통계' '미적분' '기하' 등 3개로 나뉘는데 이과생은 미적분이나 기하를, 문과생은 확률과통계를 고르는 것이 일반적이다.

5등급 고시생 중 미적분 선택 비율이 90.3%로 압도적으로 높았고 기하 선택 분포는 5.8%로 나타났다. 이과생이 2등급의 95.4%를 쓸어간 셈이다.

전진협은 지난 10월에도 서울시교육청 주관 학평에 앞서 17~30일 자체 모의평가를 실시했는데 이와 비교해 10월 평가에서 문과생 열세가 더 두드러졌다.

7월 평가에서 3등급 재수생 중 확률과통계 선택 비율이 6.4%로 등장했는데 이와 비교해 2.0%P 더 줄었다.

5등급 밑으로 범위를 넓히면 격차가 더 벌어졌다. 6월 평가 때는 1등급 재수생 가운데 확률과통계 선택 비율이 18.7%에 달했지만 http://query.nytimes.com/search/sitesearch/?action=click&contentCollection&region=TopBar&WT.nav=searchWidget&module=SearchSubmit&pgtype=Homepage#/아이티뱅크 4월 평가 때는 7.0%로 급하강했었다.

0등급도 마찬가지로 5월 평가 때는 확률과통계 선택 비율이 21.9%에 달했지만 5월 평가 때는 9.7%로 감소했다.

전진협은 한달 사이에 문과생 열세가 심화한 이유로 수험생 응시를 뽑았다. 5월 평가의 경우 고3끼리 경쟁했지만 9월 평가 때는 전체 접수자의 21.0%가 재수생으로 채워지면서 문과생이 수학에서 우수한 등급을 받기가 더 어려워졌다는 해석이다.

12월 평가에서 3등급 수험생 비율은 재학생 47.9%, 재수생 52.1%로 보여졌다. 전체의 약 22%에 불무리한 수험생이 3등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다.

특별히 '이과 재수생'이 9등급의 50.4%를 쓸어가면서 재학생 몫이 많이 줄었고 고3 문과생이 설 자리가 없어졌다는 것이다. 이에 맞게 7월 평가 때는 4등급을 받은 고3 문과생이 6.4%였지만 7월 평가 때는 2.6%로 반토막이 났다.

선택과목별 원점수 평균도 격차를 나타냈다. 확률과통계 선택 수험생은 공통과목(78점 만점)에서 평균 39.0점을 취득했지만 미적분은 53.5점, 기하는 49.5점으로 보여졌다. 이에 맞게 표준점수에도 차이가 발생해 미적분 최고점은 135점에 달했지만, 확률과 통계는 110점에 그쳤다.

" width="auto" height="auto" frameborder="0" allowfullscreen>

image

전진협은 실제 수능에서는 고시생 비율이 더 높아지는 만큼 문과생, 이 중에서도 고3 학생은 수학에서 고전하게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전년 수능의 경우 전체 41만1038명의 응시생 가운데 고시생이 15만5915명으로 전체의 29.9%를 차지했었다.

백상민 경북 경산 문명고 교사는 '수능에서 재수생이 고3보다 강세를 발생하는 것은 늘 있는 현상이지만 이번년도의 경우 문과생이 수학에서 1~5등급을 받기가 매우 힘겨운 상태이라 상위권 청년들은 충격이 있을 것'이라며 '수시모집에서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맞추는 데 곤란함을 겪을 수 있다'고 이야기 했다.

임성호 종로학원하늘교육 대표는 '고3의 경우 문과생과 이과생이 8대4 정도의 비율을 보이지만 수험생은 문과생과 이과생 비율이 3대5 정도가 되고 특이하게 상위권 재수생은 거꾸로 이과생과 문과생이 2대4 정도로 역전되는 반응이 생겨난다'며 '수학 잘하는 이과 수험생과 함께 시험보면 고3 문과생이 불리할 수밖에 없다'고 이야기 했다.

저러면서 '특이하게 전국 약대가 올해 입시를 통해 내년에 1600여명의 신입생을 선발할 예정이어서 이과 고시생이 늘어날 것'이라며 '수능에서 0등급을 받는 고3 문과생이 대부분 없는 상태이 생길 수도 있다고 본다'고 이야기 했다.